전도성 고분자의 실용성(OLED, 유기태양전지, 유기반도체)
앨런 맥디아미드, 히데키 시라카와, 앨런 히거 등 3명의 과학자는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1977년에 발명하고, 그 후 23년간 그것의 유용성을 입증하는데 혼신의 노력을 함으로써 2000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그 후 이들은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전도성 플라스틱: Conductive Polymers) 분야를 화학과 물리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가 되도록 발전시켰으며, 이후 실용화 성공사례가 속출돼 소위 ‘플라스틱 전자시대’가 개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본지에서는 (사)한국과학문화진흥회에서 게재한 강박광 교수의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의 발명으로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이라는 자료를 재조명해봤다. * 자료. (사)한국과학문화진흥회 전도성 고분자의 기능을 이용한 실용화 추진 사례 전도성..
이슈&리포트
2015. 8. 31. 16:57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동신유압
- 압출기
- 온도지시계
- 열전대
- 콘넥타
- 사출성형기
- 일웅플라테크
- PP
- 히터
- 금형
- 온도계
- 분쇄기
- 취출로봇
- 폴리카보네이트
- 여기에
- 압출성형기
- 전자클러치
- 플라스틱
- 실린더
- 아세탈
- 고무
- PVC
- 센서
- 보상도선
- 계측기
- 합성수지
- 우진플라임
- 전자브레이크
- 사출기
- 플라스틱길잡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