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국이 주력할 신소재분야와 시장전망
中 신소재산업 주력 발전 분야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지정

cats.jpg
중국, 신소재산업 육성계획 ‘적극’
중국이 2009년 신흥전략산업 발전을 천명한 이후 전문가들은 친환경에너지, 환경보호, 신에너지가 차세대 기술혁명의 주요 분야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산업 발전의 기초가 되는 것이 신소재이다.
석유화학공업연합회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중국은 2012년 박막재료시장 규모가 250억 위안으로 자급률 50%, 엔지니어링플라스틱시장 규모는 1,000억 위안으로 자급률 60%, 특수고무시장 규모는 200억 위안으로 자급률 65%, 유기 불소 실리콘소재시장 규모가 300억 위안으로 자급률 70%, 생물분해 플라스틱시장 규모가 20억 위안으로 자급률 90%, 특수섬유 및 복합재료시장 규모가 20억 위안으로 자급률 50%,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시장 규모가 90억 위안으로 자급률 40%, 무기화학공업 신소재시장 규모가 700억 위안으로 자급률 80%, 기타산업 시장 규모가 100억 위안으로 자급률 75%, 화학공업 신소재산업 규모가 2580억 위안으로 자급률 66%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2012년 발표한 신소재산업 12·5 발전규획에 따르면 2015년까지 신소재산업 총생산액이 2조 위안에 이르고 연평균 성장률이 2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국가석유화학공업규획원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의 화학공업 신소재 생산액 예상치가 3,500억 위안으로 연평균 16%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이는 같은 기간 GDP 성장률의 두 배에 해당된다.


신소재산업 주력 발전분야
신소재산업 12·5 발전규획은 6대 영역의 20개 주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2013년 3월 발표한 ‘신흥전략산업 중점 품목 및 서비스 지도 목록’에는 7개 신흥전략산업과 24개 중점 발전방향 관련 125개 세부방향이 명시돼 있다.
목록에 따르면 총 3,100여 세분화된 제품과 서비스 중 280개가 신소재산업이며, 이 목록은 신흥전략산업의 구체적인 범위와 향후 몇 년간 중국의 산업투자 판도를 보여준다.

탄소섬유 발전 유망
12.jpg
복합 신소재가 조만간 황금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흥전략산업 중점 품목 및 서비스 지도 목록 중 고성능 복합재료산업에는 고성능 섬유 및 복합재료, 금속복합재료, 자기복합재료가 포함되어 있다.
탄소섬유는 탄소함량이 90% 이상인 고분자 섬유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피치섬유, 비스코스 또는 페놀릭경탄화 등에 사용된다.
공업정보화부 관계자는 탄소섬유가 신흥전략산업 분야의 하나로 업계로서는 성장동력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밝힌 바 있다.
화창증권(華創證券)이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전 세계 탄소섬유 수요가 매년 약 13%씩 늘고 있으며, 시장성이 좋다고 분석했다.
또한 홍웬증권(宏源證券) 애널리스트는 2015년 중국의 탄소섬유 총 수요가 약 1만3,500톤/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중국의 탄소섬유 자급률은 30% 미만이지만, 정책지원으로 장기적인 탄소섬유 업종의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향후 몇 년간 탄소섬유시장이 크게 성장해 연평균 성장률이 18%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공업정보화부는 2013년 3월 ‘탄소섬유 업계의 지속적이고 건전한 발전을 가속화하는 데 관한 지도의견’을 발표했다.
2015년까지 탄소섬유 및 복합소재산업 시스템을 초보적으로 구축하고, 탄소섬유 응용시장도 규모를 갖출 것이라고 명시했으며, 탄소섬유 생산집중도를 늘려 3~5개 사의 주요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시사점
중국의 화학공업 신소재 연구개발이 뒤늦게 시작해 아직 주요 기술에서 큰 진전이 있지는 않다.
첨단영역은 수입의존도가 높고, 화학공업 신소재의 종류가 단일하다. 일반제품은 비교적 많으나 전문 또는 특수 고성능 제품이 부족한 상태이며, 이것이 외국제품이 중국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 출처 : KOTRA

123.jpg
신소재산업 발전 6대 분야
① 독특한 소리, 빛, 전열자성 기능을 가진 금속재료로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특수금속 기능재료. 전자정보산업에서는 대량의 희토 영구자석 재료와 귀금속 기능재료, 고순도 실리콘 등 반도체 재료가 많이 쓰임.
② 첨단금속 구조재료로 전통금속 구조재료보다 강한 강도와 인성, 부식방지 기능을 갖춘 금속재료. 고품질 특수강, 고강도 경형합금이 여기에 속함.
③ 선진 고분자 재료로 독특한 물리화학성능을 갖춰 특수영역이나 특정 환경에서 응용되는 인공 합성고분자 재료. 특수고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능성 박막재료 등이 여기에 속함. 중국의 첨단 고분자 재료 자급률은 낮은 편임.
④ 무기 비금속 신소재로 기존 무기 비금속 재료에 내마모성 등 특수성능을 더한 재료. 선진 자기, 특수유리, 흑연재료 등이 여기에 속함.
⑤ 고성능 복합재료로 2개 이상의 다른 성질과 모양, 성능의 재료가 복합해 생성한 특수기능과 구조를 가진 신소재.
⑥ 스마트 재료로 외부환경 조건 변화를 판단, 처리, 반응하며 재료구조 기능의 다양화가 가능한 재료. 형상기억합금과 스마트 고분자 합금 등이 여기에 속함.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중국이 주력할 신소재분야와 시장전망
댓글